콘텐츠를 만들 때 chatGPT에만 아이디어를 의존하기엔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시죠?
오늘은 그럴 때마다 우리를 도와줄 수 있는 또 다른 툴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그럼 두 가지 추천 툴의 기본 차이점 먼저 간단히!
- ChatGPT: 반응이 빠르고 유연해서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, 짧은 글 작성, 재미있는 문장 만들기 같은 데 강합니다. 특히 ChatGPT-4는 다양한 스타일을 빠르게 바꾸는 데 능숙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- Claude: 더 꼼꼼하고 안전 중심이어서 보다 깊이 있는 주제를 다룰 때 강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. 긴 글을 읽고 정리하거나, 고급스러운 톤의 글을 만들 때 특히 필요합니다.
어떻게 조합해서 쓰면 좋을까?
1.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은 ChatGPT에게 맡겨!
- “오늘 무슨 콘텐츠 찍지?” 싶을 때, ChatGPT한테 “최근 트렌드에 맞는 유튜브 콘텐츠 아이디어 10개만 줘” 이런 식으로 물어보면 아주 다양하게 뽑아줍니다.
- 유머 코드가 필요한 콘텐츠라면 특히 ChatGPT가 재치 있게 잘 만들어주니까 실험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.
2. 구체적이고 신뢰도 높은 정보는 Claude에게!
- “이 주제에 대해 좀 더 깊이 알고 싶다” 싶을 때 Claude한테 물어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“AI 윤리에 대한 핵심 쟁점들을 정리해 줘” 이런 식으로 요청하면, 근거 있는 내용으로 알차게 설명해 줍니다.
- 복잡한 리서치 기반 콘텐츠 제작할 때 아주 유용합니다!
3. 스크립트 초안은 ChatGPT로 빠르게!
- 짧은 영상 스크립트, 블로그 초안 등 빠르게 구조만 잡고 싶을 때는 ChatGPT가 훨씬 속도감 있게 도와줍니다.
- 문장 구성도 자연스럽고, 톤 조정도 유연하게 잘해줘. “좀 더 캐주얼하게 바꿔줘” 하면 훨씬 자연스럽게 바꿔줍니다.
4. 긴 글, 특히 인터뷰 정리나 요약은 Claude가 최고
- 인터뷰 녹취록이나 긴 기사 정리할 때 Claude에게 맡기면, 문맥 이해력도 좋고 중요한 포인트를 잘 뽑아줍니다.
- 특히 글 전체의 톤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도 정제된 표현을 써서, 바로 업로드해도 될 정도로 퀄리티가 높은 게 특징입니다.
5. 민감한 이슈나 윤리적인 주제 다룰 땐 Claude에게 먼저 의견을 물어보자
- 예를 들어 “이 콘텐츠가 어떤 사람들한테 불편할 수도 있을까?” 이런 걸 물어보면 Claude는 신중하게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줘서 실수할 확률이 줄어듭니다.
Claude 활용 팁 핵심 요약
콘텐츠 크리에이터 관점에서 더 구체적이고 실전 중심으로 팁을 정리해 볼게요
예를 들어, 최근 올라간 게시물 댓글을 분석해서, 향후 콘텐츠 방향을 짜고 싶을 때,
Claude 활용 예시 프롬프트:
다음은 내가 올린 최근 인스타 릴스에 달린 댓글 50개야.
이 댓글들의 전체 감정 분위기(긍정/중립/부정)를 분석하고, 반복되는 키워드를 3개 뽑아줘.
그리고 다음 콘텐츠를 만들 때 참고하면 좋을 방향을 제안해 줘.
> 댓글을 복사해서 올리거나 파일로 올린 후 위 프롬프트를 넣으면 "팔로워 반응 분석 + 콘텐츠 방향 제안"에 대해 자세히 분석 및 제안해 주니 참고할 수 있습니다.
활용 상황 Claude 활용 방식
타겟 분석 + 콘텐츠 감성 기획 | 감성 니즈 + 공감 요소 추출 |
민감한 표현 조정/검수 | 윤리적, 중립적 톤으로 피드백 |
리서치 기반 콘텐츠 요약/카드뉴스 | 정보 압축 + 시리즈 구성 |
댓글 감정 분석 및 방향 제안 | 감정 흐름 + 키워드 통계 |
브랜드 협업 콘텐츠 톤 조정 | 프로페셔널 + 세련된 어조 정리 |
마무리하며,
Claude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"콘텐츠의 깊이와 감성, 안전성"을 챙겨야 할 때 최고의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어요!
아이디어는 ChatGPT에게, 정제와 전략은 Claude에게!
나에게 두 개의 브레인이 생긴 것 같지 않으세요? 오늘 한번 활용해 보세요.
블로그 글을 자동화하는 루틴은?
하루 5분! ChatGPT로 블로그 글 자동화하는 3단계
하루 5분! ChatGPT로 블로그 글 자동화하는 3단계
시간은 없고, 블로그는 키우고 싶다면?바쁜 일상 속에서 블로그를 운영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아요.하지만 콘텐츠는 꾸준함이 생명이고, 검색 유입과 애드센스 수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
designworld.tistory.com